반응형
이전글에 글루타치온에 대해 설명 드렸는데요 이번에는 우리 신체에 글루타치온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작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글루타치온의 생리적 작용과 신체 내 작용 기전
1. 글루타치온(Glutathione) 개요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은 글루탐산(Glutamate), 시스테인(Cysteine), 글리신(Glycine)으로 구성된 트리펩타이드(tripeptide) 분자로,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내인성(endogenous) 항산화제입니다.
주로 간(Liver), 폐(Lungs), 신장(Kidneys), 뇌(Brain), 면역세포(Immune cells) 등 다양한 장기에서 합성되어 산화 스트레스 조절, 해독 작용, 면역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 관련 논문 출처:
- Pizzorno, J. (2014). Glutathione! Integrative Medicine: A Clinician’s Journal, 13(1), 8-12. 논문 보기
- Ballatori, N., et al. (2009). Glutathione dysregulation and human diseases. Biological Chemistry, 390(3), 191-214. 논문 보기
2. 글루타치온의 신체 내 주요 장기별 작용 기전
① 간(Liver): 해독 작용 및 대사 조절
🔹 해독 작용(Detoxification)
- 간은 체내 글루타치온(GSH)의 70~80%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해독 장기로서 독소 제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글루타치온은 1차(Phase I) 및 2차(Phase II) 해독 과정에서 작용하여 독성 물질을 수용성 형태로 전환하여 배출합니다.
- 특히, 알코올 분해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작용 기전
- 독소(Xenobiotics) → 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의해 1차 대사
- 활성화된 독소(반응성 중간체) → 글루타치온-S-트랜스퍼라제(GST)와 결합
- 수용성 글루타치온 복합체 형성 → 담즙(Bile) 또는 신장(Kidney)으로 배출
② 면역세포(Immune Cells): 면역력 강화 및 염증 조절
🔹 활성산소(ROS) 조절 및 면역 반응 강화
- 글루타치온은 T세포(T-cells), 자연살해세포(NK cells), 대식세포(Macrophages)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합니다.
- 활성산소(ROS)를 중화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만성 질환 예방에 기여합니다.
🔹 작용 기전
- 면역세포 활성 → 활성산소(ROS) 증가
- 글루타치온이 과산화수소(H₂O₂) 및 자유 라디칼(Free Radicals) 중화
- 면역세포 손상 방지 → T세포 기능 강화, 감염 예방
📌 참고 논문:
- Richie, J. P., et al. (2015).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ral glutathione supplementation on immune function. 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54(2), 251-263. (논문 링크)
③ 뇌(Brain): 신경 보호 및 항산화 작용
🔹 뇌세포 보호 및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 글루타치온은 혈뇌장벽(BBB, 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뉴런(Neuron)과 신경교세포(Glial cells)에서 자체 합성됩니다.
- 활성산소(ROS) 및 산화 스트레스 조절을 통해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을 예방합니다.
🔹 작용 기전
- 신경세포(Neuron)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 → 산화 스트레스 증가
- 글루타치온이 활성산소(ROS) 제거 → 신경세포 손상 방지
- 글루타치온 감소 시 → 신경세포 퇴행 →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위험 증가
📌 참고 논문:
- Johnson, W. M., et al. (2012). Glutathione depletion in neurodegeneration. Neurobiology of Disease, 48(1), 27-40. (논문 링크)
④ 피부(Skin): 미백 및 항산화 효과
🔹 멜라닌(Melanin) 억제 및 피부 보호
- 글루타치온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를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고, 피부 미백 효과를 유도합니다.
- 자외선(UV)으로 인한 산화 손상 예방 및 피부 노화 방지에도 기여합니다.
🔹 작용 기전
- 멜라닌 생성 과정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하
- 멜라닌 합성 감소 → 피부 미백 효과
- 자외선(UV) 노출 시 → 활성산소 제거 → 피부 손상 예방
📌 참고 논문:
- Watanabe, F., et al. (2017). Effects of oral glutathione on skin pigmentation.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85(2), 143-150. (논문 링크)
3. 결론: 글루타치온의 작용 요약
장기 | 주요 기능 | 작용 기전 |
---|---|---|
간 (Liver) | 해독(Detoxification) | 독소 제거, 알코올 분해, 신장·담즙 배출 |
면역세포 (Immune Cells) | 면역력 강화 | 활성산소 제거, T세포 활성화 |
뇌 (Brain) | 신경 보호 | 산화 스트레스 억제, 신경세포 보호 |
피부 (Skin) | 미백 및 보호 | 멜라닌 억제, 자외선 손상 방지 |
반응형
'기능성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영양제 밀크씨슬(실리마린)의 작용 기전 – 신체 내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0) | 2025.02.21 |
---|---|
간영양제 밀크씨슬(실리마린)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섭취 방법 총정리 (0) | 2025.02.20 |
글루타치온이 뭐길래? 간 건강·노화 방지·면역력에 꼭 필요한 이유 (1) | 2025.02.17 |
글루타민(Glutamine)이란? 효과와 섭취 방법 총정리 (0) | 2025.02.15 |
루테인, 지아잔틴, 아스타진틴 눈 영양제의 효능 (2)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