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성건강정보

간영양제 밀크씨슬(실리마린)의 작용 기전 – 신체 내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by 그린셋 2025. 2. 21.
반응형

 

 

이전 글에서의 밀크씨슬(실리마린)의 효능과 부작용,섭취방법을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신체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글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십니다.

 밀크씨슬(실리마린)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섭취 방법 총정리

📌 밀크씨슬(실리마린)의 작용 기전 – 신체 내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 밀크씨슬(실리마린)의 신체 내 작용 메커니즘 총정리

밀크씨슬(Milk Thistle)은 간 건강을 위한 대표적인 식물성 성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주요 활성 성분은 실리마린(Silymarin)입니다.
그렇다면 실리마린은 신체 내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간에 작용하는 것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실리마린의 흡수, 대사, 작용 기전을 과학적인 연구 논문과 의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

📖 목차

🔍 1. 실리마린이란? (밀크씨슬의 핵심 성분)

  • 실리마린(Silymarin)은 밀크씨슬의 씨앗에서 추출되는 플라보노이드 복합체로, 다음과 같은 활성 성분을 포함합니다.
    • 실리빈(Silibinin, Silybin): 가장 강력한 생리활성을 가지며, 간 보호 작용의 주된 역할을 함.
    • 실리디아닌(Silydianin)실리크리스틴(Silychristin): 간 세포막 안정화 및 항산화 작용.
    실리마린은 주로 간 세포 보호, 항산화, 항염증 작용을 통해 간 건강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2. 실리마린의 신체 내 흡수 과정

  • 실리마린은 경구 섭취 후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신체 내에서 작용합니다
  •  ✅ 1) 소화기계에서 흡수
    • 실리마린은 지용성 성분이므로 흡수율이 낮음 (생체이용률 약 23-47%).
    • 단순 섭취보다는 지질(지방)과 함께 섭취할 때 흡수율 증가 (지용성 특성).
    • 장 점막 세포를 통해 흡수되며, 일부는 담즙을 통해 재흡수됨(장-간 순환, enterohepatic circulation).
    2) 혈류를 통해 간으로 이동
    • 흡수된 실리마린은 **간문맥(portal vein)**을 통해 간으로 직접 이동.
    • 간에서 대사 과정(Phase I, Phase II 반응)을 거쳐 활성 형태로 변환됨.

⚗️ 3. 간에서의 실리마린 대사 및 변환 과정

  • 실리마린은 간에서 두 가지 주요 대사 과정을 거쳐 활성 성분으로 작용합니다.
  • 🔹 1)  Phase I 대사 (산화 및 환원 과정)
    • 실리마린은 CYP450 효소계에 의해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거쳐 보다 활성화된 대사체로 변환됨.
    • 일부는 항산화 작용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전환되어 간 보호 효과를 강화함.
    🔹 2) Phase II 대사 (포합 반응 - Glucuronidation & Sulfation)
    • 변환된 실리마린 대사체는 UDP-Glucuronosyltransferase (UGT) 및 Sulfotransferase (SULT) 효소에 의해 글루쿠론산 및 황산과 결합하여 배설이 용이한 형태로 전환됨.
    • 일부는 담즙을 통해 장으로 배출되며, 다시 일부가 장에서 재흡수됨(장-간 순환)

🔬 4. 실리마린의 주요 작용 기전

  • 실리마린은 간에서 다양한 생리학적 기전을 통해 간세포 보호 및 기능 개선을 유도합니다.
  • 1) 항산화 작용 (Reactive Oxygen Species 제거)
    • 실리마린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작용하며, 활성산소(ROS) 제거를 통해 간 세포 손상을 방지함.
    • Glutathione (GSH) 수치를 증가시켜 간 해독 능력을 향상.
    2) 항염증 작용 (NF-κB 억제)
    • 실리마린은 NF-κB 경로를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감소.
    • 특히 간염 및 지방간 질환(NAFLD, NASH) 환자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6) 감소 효과가 보고됨.
    3) 간 세포 재생 촉진 (Hepatocyte Regeneration)
    • 간세포 손상 회복 촉진 (DNA 합성 증가 및 세포 성장 인자 활성화).
    • 특히 간경화,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 조직 재생 효과가 확인됨.
    4) 간 섬유화 억제 (TGF-β 억제)
    • 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신호 억제를 통해 간 섬유화 진행을 방지.
    • 간경화 진행을 늦추는 역할을 할 수 있음.
  •  

📑 5. 실리마린 관련 연구 및 논문

  • 🔍 "Silymarin in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Journal of Hepatology, 2017)
  • 🔍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Silymarin"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2019)
  • 🔍 "Milk Thistle and Its Role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orld Journal of Hepatology, 2020)
  • 🔍 "Silibinin as an Antifibrotic Agent in Liver Fibrosis"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2022)

✅ 6. 결론 및 요약

실리마린은 신체 내에서 흡수 → 간에서 대사 → 활성 작용 → 배설 과정을 거쳐 간 보호 효과를 나타냅니다.

👉 밀크씨슬을 섭취할 때는 지방과 함께 복용하면 흡수율이 증가하며, 장기간 복용 시 일정한 휴지기를 갖는 것이 좋습니다. 😊

반응형